China Story 01 2015. 6. 16. 12:01

[도서] 다시는 중국인으로 태어나지 않겠다, 종주캉

​​



틈틈히 읽어내려가는 중국에 관한 책. '중국 읽어주는 남자' 이후로 보는 비문학 도서인데, 한 챕터를 읽으면서 여러 생각이 나서 주절주절 써 보려고 한다.


4장 / 민족성이 나라를 망친다

> 도덕으로 종교를 대신하려 들다


이 챕터에서는 중국의 조상들이 후대 사람들을 위해 무엇을 했고 어떻게 살았는지 돌아보며, 현대 중국이 가진ㅡ나름의 위상은 높아졌지만 안타깝게도 기존에 중국이 줄곧 가지고 있었던ㅡ부정적 이미지의 원인을 되돌아보고 있다. 역사는 재평가되어야 하듯, 저자는 지나간 중국의 행보를 통해 중국의 부정적 이미지의 원인을 도출해내고 있다.
도덕으로 종교를 대신하려 했지만 그 한 가지도 잡지 못한 것에 대해서 중국에 갔던 외국인 선교사님들의 저서를 종종 언급하여 저자의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으며, 저자는 종교의 중국에서의 존재가치에 대해서 부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종교가 어떤 하나의 해결책이 된다는 시각이다.

이러한 중국의 행보는 좀 더 구체적으로 첨언하여 서양 학문을 잘못 받아들이는 데 있다고 다음 챕터에서 이야기한다.

--

중국이 가진 부정적 이미지 때문에 사람들이 중국을 그저 우스워했었고 마음이 아팠었다. 지금은 중국이 떠오르면서 그런 우습게 여김은 많이 숨어들어갔지만, 그런 중국의 모습도 사라졌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그래서 나는 여전히 중국의 모습이 아프다.

앞서 읽었던 '중국 읽어주는 남자'에서는 저자가 중국의 근현대사를 다루며 자본주의에 대한 이야기를 선전(深圳, 마오주석 집권당시 어촌이었으나, 경제특구 지정 이후, 부성급시로 발전되어 지역 위상이 급부상함.)을 인트로 삼아 마오쩌둥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한다. 마오쩌둥이 중국의 국가주석이 되면서 진행한 사상청소기간(이것만으로도 충분히 충격적이다)에서부터 대약진운동, 문화대혁명에 이르기까지 경제적 기반이 약해지고 자본주의로 전환할 수 밖에 없었던 상황들을 보면서 중국의 부정적 이미지가 이것에서부터 온 듯한 느낌을 받았다.

그러나, 지금 읽는 이 책에서는 수백, 수천 년 전의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지금 중국이 가진 부정적 이미지가 언제, 어떤 이유로 형성되어 왔는지 이야기하고 있다. 역사는 재평가되어야 함이 매우 힘을 가지는 챕터이다.

앞서 말한 두 권의 책은 나에게 중국에 대한 내 공부의 확장된 패러다임을 제공한다. 확장이 아니라 또 다른 어떤 원인으로도 존재할 수 있지만, 많은 사람들의 다양한 관점의 책을 통해서 계속해서 재평가 된 역사로 인해 내가 가진 정보들이 가공되어져 모두를 위한 힘으로 작용할 거라고 믿는다.